- 저자
- 대니얼 카너먼
- 출판
- 김영사
- 출판일
- 2018.03.30
서론
틀짜기에 대한 글을 쓰면서 느낀점이 있다.
이해가 쉬운 글을 쓰려면
'독자와 작가가 주파수'를 맞춰야 한다.
나는 제목을 쓰고 주제에 대한 설명을 쓴다
.
.
.
하지만
제목을 쓰고 '이미지 한장으로' 독자와
'주파수를 맞추면' 읽기 쉬운 글이 되겠다.
심리적 계좌
'일종의 자기거래'
↓
'좁은 틀짜기의 한 형태'이며
↓
유한한 정신으로 대상을
통제하고 관리하는 수단
'최소 노력 법칙'에 의해
SYSTEM 2는 무리하지 않는다.
※ '손실을 줄이려고 노력'하면 실제로 인정하는
꼴이 될까바 '손실을 줄이지 않는다'.
※ 나중에 후회 할 행동은
애초에 '거부하는 편향'을 보인다.
※ 행동마다 책임의 정도가 다른 탓에
'행동하지 않은 것'과 '행동한 것' 사이에
실체도 없는 분명한 선을 긋는다.
합리적 행위를 하려면?
시스템 2가 반대되는 가능성을
답해야 한다.
↓
평소에 정신활동이 왕성하고
잘 훈련되어 있어야 한다.
'최소 노력 법칙'에 의해
SYSTEM 2는 무리하지 않는다.
※ '합리적인 결정자'는 현재의 투자가
'미래에 가져올 결과'에만 관심을 둔다
※ '실수를 정당화'하는 것은
이콘의 관심사가 아니다.
※ 현재의 가능성을 평가할 때
'과거 투자의 매몰비용을 무시'해야 한다.
후회
후회는 '감정' 이며, 자신에 내리는 '벌' 이다
↓
두려움으로 수많은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
역전
'두 시나리오를 동시에 봤을 때만 적용'
↓
시스템 1의 바꿔치기와 세기 짝짓기가
이야기에서 느끼는 감정의 세기를 금액으로 환전
선호도 역전
개인의 선택은 당시 상황에 역전된다.
ex) 기분이 좋을때의 판단과
아닐때의 판단은 다를 수 있다.
'1대 1 비교'에서는 결정이
'시스템 1의 감정반응'에 좌우된다.
범주를 만들어라
단일평가보다 공동평가에서 봐야
더 합리적인 결정이 가능하다.
↓
범주를 만들어서 상황을 조작해야 한다.
↓
감정이 들어간 평가는 단일평가에만 적용된다
틀과사실
단어가 불러일으키는 '감정'이
최종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
↓
'감정자극'은 시스템 1이 관여한다.
합리적인 결정자
별다른 갈등없이 '사실을 기반'으로 결정
'좋은 틀짜기'의 예시 : '넛지
ex) 장기기증을 거부 선택 형식으로 채택
'책 정리 > 생각에 관한 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생각에 관한 생각(8/8) - 기억하는 자아 (0) | 2023.02.15 |
---|---|
생각에 관한 생각 (6/8) - 과대가중치 (0) | 2023.02.10 |
생각에 관한 생각 (5/8) - 효용과 확률 (0) | 2023.02.09 |
생각에 관한 생각 (4/8) - 전망이론과 기대효용이론 (0) | 2023.02.08 |
생각에 관한 생각 (3/8) - 인과적 사고의 오류 (0) | 2023.02.02 |
생각에 관한 생각 (2/8) - 어림짐작과 편향 (0) | 2023.01.31 |
생각에 관한 생각 (1/8) - 두 시스템 (0) | 2023.01.30 |